매년 5월이면 찾아오는 종합소득세 신고 시즌,
많은 사람들이 “홈택스에서 어떻게 신고하지?” 하고 고민합니다.
특히 국세청에서 알아서 채워주는 ‘모두채움 신고’와
직접 자료를 입력해야 하는 ‘일반신고’ 중 어떤 걸 선택해야 할지도 막막하죠.
이번 글에서는 홈택스를 통한 종합소득세 신고 방법을 상세하게 정리해드립니다.
이제는 누구나 혼자서도 할 수 있어요!

1. 홈택스로 신고하기 전 준비사항
🔸️공인인증서 또는 공동인증서(간편인증도 가능)
🔸️연말 소득/지출 자료 (필요한 경우: 정산서, 매출내역, 경비영수증 등)
🔸️환급받을 계좌 정보
☑️ 홈택스 주소: www.hometax.go.kr
국세청 홈택스
www.hometax.go.kr
2. ‘모두채움 신고’란?
국세청이 미리 소득자료를 채워주는 신고 방식입니다.
소규모 프리랜서나 원천징수 받은 기타소득자 등에게 권장됩니다.
⭕️장점
•복잡한 자료 입력 없이 클릭 몇 번으로 신고 완료
•자동 공제 적용, 계산 실수 없음
•모바일(손택스)로도 가능
❌️단점
•경비 공제가 잘 반영되지 않을 수 있음
•직접 수정·추가 입력이 제한됨
→ 지출이 많거나 경비처리를 하고 싶은 경우 일반신고가 더 유리
3. ‘일반신고’란?
소득, 경비, 공제 내역 등을 직접 입력하는 방식입니다.
사업소득자, 경비공제 많거나 다양한 수익원이 있는 사람에게 적합합니다.
🔸️절차 요약
① 홈택스 로그인 → 신고/납부 → 종합소득세
② 일반신고 선택
③ 기본정보 입력 → 소득종류 선택
④ 매출·경비 직접 입력 → 공제항목 체크
⑤ 예상 납부세액 확인 → 제출 → 납부 또는 환급
✔️주의사항
•경비는 증빙자료가 있어야 인정
•실수 시 수정신고 또는 경정청구 가능
4. 손택스로 신고도 가능할까?
✔️ YES!
모바일 앱 ‘손택스’에서도 ‘모두채움 간편신고’가 가능합니다.
프리랜서, N잡러처럼 소득이 단순한 경우 모바일로도 충분히 처리할 수 있어요.
단, 일반신고는 일부 기능이 제한되므로 경비처리가 필요한 경우는 PC로 접속하는 게 좋습니다.
🔸️🔸️🔸️🔸️🔸️
종합소득세는 이제 누구나 홈택스로 쉽게 신고할 수 있는 시대입니다.
소득이 단순하다면 모두채움, 지출이 많다면 일반신고를 선택해보세요.
루미노믹스는 앞으로도
프리랜서, 창작자, N잡러를 위한 실전 세금 정보와 자동화 꿀팁을 계속 알려드릴게요!
'키워드 & 정보관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왜 생필품도 후결제하는 시대가 됐을까? (0) | 2025.04.27 |
---|---|
부업 수익도 신고해야 할까?|쿠팡파트너스·블로그 수익 종합소득세 정리 (0) | 2025.04.22 |
모든 소득에 세금 부과하는 사회, 어디까지가 정당한가?|2025년 과세 범위 확대의 그림자 (2) | 2025.04.22 |
2025년 폐가전 무상 방문 수거 신청법|E순환거버넌스 총정리 (0) | 2025.04.22 |
2025년 재개발·재건축 투자 전략|장단점 분석과 최신 규제 변화 (0) | 2025.04.22 |